롯데 12연패’, 야구가 인생에 주는 교훈 [경기장의 안과 밖]
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는 올해 8월7일 사직 KIA전부터 8월23일 창원 NC전까지 14경기에서 무려 12연패를 당했다. 무승부 두 번이 있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무승부가 발생하면 연패나 연승 기록이 이어진다고 본다.
연패 전 롯데는 58승 45패 3무로 승률 0.563을 기록하고 있었다. 12연패를 당했을 때 승률은 0.504로 극적으로 하락했다.
롯데가 12연패를 당한 데에 대해 여러 이유를 들 수 있다. 베테랑 타자인 전준우가 8월6일 왼쪽 햄스트링 부상으로 1군 로스터에서 말소됐다. 하필 그다음 날부터 롯데의 연패가 시작됐다. 외국인 투수 터커 데이비슨은 6월부터 부진에 빠졌다. 롯데는 데이비슨에게 ‘포스트시즌 에이스’를 맡기기는 어렵다고 판단해 그를 방출하기로 결정했다. 마지막 등판에서 데이비슨은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하며 승리투수가 됐다. 전준우가 이탈한 8월6일 경기였다. 데이비슨 대신 입단한 빈스 벨라스케스는 연패 기간 중 두 경기에서 모두 패전투수가 됐다.
연패 전까지 롯데는 팀 타율 1위였지만 파워는 약했다. 팀 홈런은 53개로 최하위였다. 연패 기간 불펜이 특별히 큰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았다. 하지만 김태형 감독의 불펜 운영은 우려를 자아냈다. 롯데는 3일 연투 투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팀이었다.
대진운도 좋지 않았다. 연패 기간 롯데는 1위 LG와 2위 한화와 각각 3연전을 치러야 했다. 전력이 같은 팀끼리 만나면 기대승률은 5할이다. 하지만 프로야구 리그에서 각 팀은 전력이 다르다. 야구의 경우 선발투수 전력이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런 점을 고려해 스포츠베팅 배당률을 만드는 오즈메이커들은 매 경기 각 팀 기대승률을 매긴다. 롯데는 12연패 중 8경기에서 열세, 4경기에서만 우세로 평가됐다.
삼성라이온즈 팬카페 대한민국 No.1 야구 커뮤니티 갤러리 사이트입니다 삼성라이온즈의 일정, 결과, 순위, 유니폼, 예매, 야구장 정보까지 이곳 커뮤니티에서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https://m.sports.naver.com/kbaseball/article/308/0000037245
rth 님의 최근 댓글
저도 그 장면 너무 인상 깊어서 몇번이고 돌려봤습니다 ㅎㅎ 똑띠 영웅이 2025 09.20 스윕 기원 라인업 괜춘하네요~ 2025 07.07